반복적으로 좌절을 경험하는 이유.
인생에서 갇히거나, 좌절하거나, 성취되지 않는 느낌을 받은 적이 있나요? 왜 어떤 사람들은 당신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동안 모든 행운과 성공을 누리고 있는 것처럼 보일까요? 만약, 당신이 이와 같은 의문을 가지고 있다면, 당신은 당신의 진정한 잠재력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물론 당신만 그런 것은 아닙니다. 우리 모두는 성취하고 싶은 꿈과 욕망이 있지만 종종 두려움, 의심, 제한적 신념이 방해가 됩니다. 우리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왜 나는 내가 원하는 것을 가질 수 없을까', '나는 그것을 가질 자격이 없어', '그런 좋은 일은 나에겐 생기지 않을 거야', '성공하거나 부자가 되는 것은 특별한 사람들만 가능해.'라고요.
당신은 이 말에 공감을 하고있나요? 그렇다면, 당신의 무의식에 깊이 자리 잡고 있는 이 생각을 뒤집지 않는 이상, 당신에겐 어떠한 성공도, 성취도, 변화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현실 창조의 원리
왜 그럴까요?
우리는 우리가 집중하는 것을 끌어당기는 강력한 자석이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잠재의식이 믿는 것이 현실로 나타납니다.
즉, 잠재의식을 다시 쓰고, 우주의 풍요로운 주파수 자신을 맞춘다면 우리는 우리가 원하는 것을 성취하거나, 부자가 되거나, 성공하는 것과 같이 우리가 생각하기에 좋은 것들로 현실을 바꿀 수 있습니다.
이것을 끌어당김의 법칙이라고 하는데요, 이것은 같은 것끼리 끌어당기는 에너지의 원리를 뜻합니다. 우주의 모든 것은 에너지로 구성되어 있고 각기 다른 주파수로 진동합니다. 그리고 우리가 특정 주파수에 맞춰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한다면 비슷한 진동을 삶으로 끌어들입니다. 다시 말해 우리는 우리의 생각, 감정, 행동을 의식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원하는바대로 현실을 창조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 끌어당김의 법칙을 사용하는 열쇠는 당신의 생각, 느낌, 행동을 의식적으로 선택하는 것입니다. 당신이 긍정적으로 생각하면 긍정적인 경험과 일들을 끌어당길 것이고, 반대로 부정적으로 생각한다면 부정적인 경험과 사물을 현실로 끌어들이게 됩니다.
하지만 생각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당신이 생각하고 있는 것에 대해 기분좋은 느낌을 느껴야 합니다. 당신의 감정은 생각에 힘을 실어주는 연료와도 같습니다.
만약 당신이 원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은 하지만, 스스로 느끼기에 부정적으로 느낀다면 원하는 것은 끌려오지 않습니다. 때로는 부정적인 느낌이 더 강력하게 작용해서 부정적인 것이 끌려오기도 합니다.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긍정적으로 느낄때, 긍정적인 생각이 증폭되고 더 많은 긍정적인 것들을 끌어들입니다. 그러나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긍정적으로 느끼지만 아무런 행동도 취하지 않는다면, 결과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의식적으로 현실을 창조하는 방법
그렇다면, 끌어당김의 법칙을 어떻게 삶에 적용할 수 있을까요?
첫째,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해야 합니다. 두려움이나 의심이 아니라 자신의 욕망에 집중해야 합니다.
둘째, 원하는 것을 이미 가지고 있는 자신을 상상하고 그에 수반되는 기쁨, 감사, 행복한 감정을 느껴야 합니다.
셋째, 당신의 바람과 일치하는 영감에 찬 행동을 해야 합니다. 기회는 행동하는 자에게 항상 열려있습니다. 위험을 감수하고, 직관에 따라 행동하세요.
마지막으로, 당신이 원하는 것이 언제 나타날지, 어떻게 나타날지 의문을 가지지 마세요. 단지 그렇게 될 거라는 것을 믿고 현재를 즐기기만 하면 그것은, 가장 최적의 방법으로 딱 알맞은 시기에 당신의 현실에 나타납니다.
이제 당신이 자신의 삶을 책임질 준비가 되었다면, 변명과 한계를 버리고 당신의 진정한 잠재력을 받아들이세요. 당신은 당신이 원하는 것은 뭐든지 할 수 있고, 될 수 있고, 가질 수 있는 강력한 창조자입니다.
'나름의 문화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비한 영적 고전 도서, 내 안의 나 (조셉 베너) (0) | 2023.03.02 |
---|---|
넷플릭스 SF 공포영화 추천 놉 Nope (0) | 2023.02.25 |
스마트폰을 떨어뜨렸을 뿐인데 한국영화 (1) | 2023.02.21 |
넷플릭스 영화 자백 줄거리 및 결말 (0) | 2023.02.19 |
청춘 로맨스 애니 추천 10 (0) | 2023.02.17 |
댓글